서브배경이미지

H

제목

"치솟는 혈압에 심장은 과부하...현명한 고혈압 관리법은" 내과 의사 구지훈

뇌졸중, 심근경색, 신부전 등 말만 들어도 무서운 질환을 부르는 질환.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약 14%가 앓고 있는 질환. 모두 '고혈압'에 대한 이야기다. 고혈압은 여러 원인으로 인해 혈압이 높아진 상태로, 진단기준은 이완기 혈압 90mmhg 이상 또는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이다.내과 구지훈 원장(시흥센트럴병원)은 고혈압을 '위험하지만, 그 위험성이 간과되기 쉬운 질환'이라고 표현한다. 고혈압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이 큰데 반해 초기에는 이렇다 할 증상이 없어 관리를 소홀히 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는 것이 그의 설명. 구지훈 원장은 "방치된 고혈압은 심장에 부담을 주고 뇌, 눈 등 우리 몸 곳곳에 합병증을 부른다"며 철저한 혈압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고혈압 환자의 식습관, 운동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출처: 건강이 궁금할 땐, 하이닥 (www.hidoc.co.kr)
q. 고혈압의 무서운 점은 위험 신호나 증상이 없지만 계속 진행이 된다는 점인 거 같습니다. 스스로 알아차릴 수 있는 방법, 정말 없을까요?고혈압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증상을 느끼는 경우도 아주 가끔 있는데요. 바로 수축기 혈압이 180mmhg 이상으로 올라가는 중증 고혈압일 때입니다. 이때는 아침에 일어날 때 혈압이 급격히 높아지면서 후두부 쪽에 통증을 느끼고, 이후 혈압이 떨어지면서 증상이 호전되는 특징적인 두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는 대부분의 경우 합병증과 관련된 증상을 느끼게 됩니다.혈압을 다르게 표현해 보면 ‘심장이 펌프질을 하며 이겨내야 하는 압력’입니다. 혈압이 높은 분들은 심장이 그만큼 더 센 압력으로 수축을 해야지만 유지가 됩니다. 우리 심장은 하루에 10만 번 정도 뛰는데요. 만약 혈압이 높은 상태로 100일 지속된다면, 고혈압 환자의 심장은 강한 힘으로 천만 번 이상을 열심히 뛰어야 합니다. 그러다 보면 심장이 망가지고요. 그 결과로 고혈압성 심부전이 생길 수 있습니다.더 나아가 높은 압력의 혈액은 혈관 자체의 내피세포에 상처를 입힙니다. 피부에 심한 상처가 난 경우 아물면서 섬유질이 생겨 딱딱해지는데요. 혈관 역시 아무는 과정에서 섬유화가 되면서 탄력을 잃어가고 점점 딱딱해집니다. 혈관이 딱딱해지면 혈압이 다시 높아지는 악순환이 발생하죠.q. 고혈압이 우리 몸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해 주신다면요.고혈압은 결국 심장과 혈관을 망가뜨리는 병입니다. 혈관을 먹여 살리는 혈관이 망가지면 협심증, 심근경색 등이 발생할 수 있고요. 혈관이 많은 대표적인 기관인 ‘뇌’의 혈관이 망가지면 불구가 될 수도, 사망할 수도 있습니다. 드문 질환이지만, 고혈압을 오래 방치할 경우 대동맥이 찢어지거나 터질 수도 있죠. 이는 한 번의 사건으로 사망할 수 있는 위험한 합병증입니다.혈관이 많은 또 하나의 기관으로는 ‘망막’이 있습니다. 망막 혈관이 터지거나 혈압이 높아지면 망막에 맺힌 상을 우리 시신경이 인지하지 못하게 되고요. 이로 인해 시야가 안 좋아지거나 흐려지고, 시력이 나빠지는 현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 눈에 흰자위를 ‘공막’이라고 하고, 이를 덮고 있는 투명한 조직을 ‘결막’이라고 하는데요. 이 결막에도 아주 가느다란 모세혈관이 많이 지나갑니다. 이 혈관이 터지면 흰자위에 점이 찍힌 듯 보이거나 광범위하게 붉게 물드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고혈압은 증상 없이 홀연히 찾아와 심장, 뇌, 눈 등 주요 장기를 망친다|출처: 클립아트코리아

q. 고혈압, 완치가 가능한 경우도 있나요?고혈압에 이야기할 때 대부분 ‘원발성 고혈압’ 즉, 생활습관이 잘못돼서 고혈압이 생길 수밖에 없는 몸으로 변화돼 버린 상태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이차성 고혈압이라는 것도 있습니다. 이는 일차적으로 원인이 되는 질환이 있고, 이로 인해 혈압이 높아진 경우인데요. 이차성 고혈압의 경우, 원인 질환만 해결하면 혈압이 낮아지기에 평생 약을 먹지 않아도 됩니다.이차성 고혈압의 대표적인 원인 질환 3가지는 모두 부신에 생기는 종양성 질환인데요. 첫 번째로는 원발성 알도스테론증이 있습니다. 알도스테론이라고 하는 호르몬을 만들어 내는 종양이 생기는 질환인데요. 이 종양은 물을 계속 마시고 싶고, 소변을 많이 보는 증상을 유발합니다. 이렇게 되면 칼륨 수치가 낮아지면서 근무력감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죠.두 번째로는 쿠싱증후군을 꼽을 수 있습니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만들어내는 종양이 생기는 질환인데요. 이때 종양은 부신에 생기기도 하고, 다른 자리에 생긴 후 이차적으로 부신에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쿠싱증후군은 얼굴이 달처럼 커지면서 비만해지는 ‘문페이스’, 그리고 목덜미가 부풀어 오르는 ‘버펄로 험프’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또 하나의 원인으로는 갈색세포종이 있습니다. 갈색세포종이 생긴 사람은 갑자기 아드레날린이 폭발적으로 분비되다가 멈춥니다. 이로 인해 갑자기 혈압이 확 올라가서 머리가 아프거나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 숨이 찬 증상 등이 나타나고요. 아드레날린 분비가 멈추면 혈압이 뚝 떨어지면서 어지러운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그 밖에도 신장동맥이 좁아지는 신동맥 협착증도 이차성 고혈압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만약 고혈압으로 약물 치료를 받고 있는데, 위와 같은 질환의 의심증상이 나타난다면 빨리 병원을 찾아 원인 질환을 찾아내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q. 고혈압 환자의 관리법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 우선, 식습관은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고혈압 환자분들이 첫 번째로 경계해야 할 것은 ‘짜게 먹는 것’으로, 소금은 하루 한 티스푼 정도만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 스트레스를 받으면 한 잔 기울이는 분들 많은데요. 알코올 섭취도 혈압을 높이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때문에, 술 한 잔 기울이면서 짠 음식을 먹는 것이 제일 안 좋은 식습관이라고 할 수 있겠죠.술과 짠 음식에 주의하면서 ‘dash 식단’을 실천하길 추천드립니다. dash 식단은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의 약자인데요. 말 그대로 혈압을 방지하는 식단을 의미합니다.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채소나 과일 위주로 먹고,. 단백질은 흰 살 생선 위주로 먹으며 지방의 섭취를 확실히 줄이는 식사법입니다. 이러한 dash 식단을 잘 유지할 경우 수축기 혈압은 11mmhg 정도, 이완기 혈압은 6mmhg 정도 낮출 수 있습니다.q. 운동은 어떨까요? 고혈압 환자에게 좋지 못한 운동도 있는지요.모든 고혈압 환자분들이 운동을 할 때는 항상 전제가 필요합니다. 바로 ‘혈압이 잘 조절된다’는 전제입니다. 혈압이 잘 조절되지 않을 때는 오히려 운동이 독이 될 수 있는데, 특히 갑자기 무거운 중량을 들어 올리는 운동이 그렇습니다. 혈압이 높은 상태에서 급격하게 힘을 쓰면 혈압이 올라가서 심뇌혈관에 압박이 더 가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고혈압 극복을 위해서는 근력 운동도 필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유산소 운동입니다. 효과적인 유산소 운동을 위해서는 ‘1530’을 기억하면 좋은데요. 일주일에 5일 이상, 30분 이상 유산소 운동을 하자는 의미입니다. 이와 더불어 운동 강도는 옆 사람과 대화할 수 있을 정도로 하는 설정할 것을 권장해 드립니다.기획 = 백선혜 건강전문 아나운서도움말 = 구지훈 원장 (시흥센트럴병원 내과 전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