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배경이미지

소변검사

H > 임상병리과 > 소변검사

소변검사


신장은 대사노폐물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항상성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신장에서 출발해 소변이 배설되는 곳까지 어느 곳이라도 이상이 있으면 노폐물이 배설되지 않거나 배설되면 안 되는 물질이 소변에 섞이게 됩니다.

소변검사를 통해 신장기능검사, 당뇨검사, 요로/신장/방광 등 비뇨기계 질환 파악

이 같은 경우 이상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소변 중 성분이나 성질, 양 등을 조사하는 것이 소변검사입니다. 보통 신장기능검사, 당뇨병 검사, 요로계, 신장, 방광염증질환, 비뇨기계 질환 등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합니다.

소변검사를 하기 전 주의사항

1 운동금지
운동을 격렬하게 한 후에는 단백, 잠혈 반응이 양성으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검사 당일에는 조깅 등의 운동은 하지 말아야 합니다.
2 비타민C 복용 삼가
비타민 C를 다량 복용하면 요당이 있어도 음성으로 나타나므로 검사 전에는 복용을 피해야 합니다.
3 생리 중인 경우에는 검사 피하기
생리 중인 여성은 요에 혈액이 섞이기 쉬우므로 검사 전에 반드시 검사 담당자에게 알리고 급한 경우가 아니면 생리 후에 검사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변 받을 때 주의사항

  • 요를 채취할 때는 잡균이 섞이지 않도록 배뇨 처음 부분은 버리고 중간 소변을 채취합니다.
  • 소변에 치모(음모)가 들어가더라도 손가락을 넣어 꺼내서는 안 됩니다. 손가락에 있는 세균 등이 섞일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 실온에서 1시간 이상 방치한 소변도 부적당합니다.

검사항목

색깔, 산도, 당, 단백질, 잠혈, 케톤, 빌리루빈, 유로빌리노겐, 적혈구, 백혈구 등을 확인합니다.